제이슨 스타뎀이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는 B급 액션영화의 이미지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적당한 액션과 쫄깃함으로 킬링타임용으로는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해왔다. 게다가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늘 똑같은 표정과 말투를 보여주는 아놀드 슈왈츠제네거의 후예다운 연기하는 듯 안하는 그의 스타일도 나름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어 전혀 어색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A급이든 B급이든 연기를 하든 안하든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그래도 어느정도의 스토리가 보장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라면 은 그야말로 킬링 타임이 아니라 웨이스팅 타임용 영화라 할 만큼 시간을 낭비하는 영화라고 할 만하다. 그러다보니 적당한 액션과 일정한 재미는 드린다는 제이슨 스타뎀의 스타이미지도 아무 소용이 없다. 수족관의 상어가 아닌건 분명한데...
은 제니퍼 로렌스를 스타로 밀어 올린 을 만들었던 데보라 그래닉 감독의 최신작이다. 여전히 느리지만 진중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또한 여전히 아버지와 딸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어쩌면 여류감독으로서 가족과 아버지를 바라보는 관점이 평범한 가족의 모습과는 다르게 보고 있다는 느낌도 든다. 무엇보다 데보라 그래닉의 영화에서는 아버지라는 존재가 매우 큰 의미를 지니는 것 같기도 하다. 의 아버지가 실체를 보여주지 않고 남아있는 흔적을 통해 보여주었다면, 에서는 아버지라는 실체가 지워지는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운 지점이었다. 어떤 트라우마 -그것이 무엇인지 영화속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다만 미국의 일반적인 것들 예를 든다면 중동지역의 전쟁에서의 외상후 장..
안소니 밍겔라 감독의 는 몇번의 아름다운 영상과 나의 감성을 녹이는 장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지루했다. 절대사랑이라는 감정을 돋보이게 하기위해 온갖 아름다운 영상 만들기는 정성스럽지만 너무나 익숙한 서사는 영상을 그림엽서 이상으로는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더군다나 속내를 들여다보니 엄청 꼬롬한 냄새도 진동하기에 거의 3시간 가까이 화면을 바라봐야 하는 것은 뜨거운 사막에서 타는 목을 움켜잡고 빨리 오아시스가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꼴이었다. 과연 안소니 밍겔라 감독은 누구에게 '누구나가' 다 아름답다고 느낄 것 같은 이런 비극적 사랑이야기를 하고자 하는가? 그러니까 이 영화 자체가 암묵적으로 상정하고 있는 고객은 누구인가? 감독은 교묘하게 위장한 채 중산층을 위한 광대놀음을 펼친다. 여기서 말..
이름값으로는 세계 최고라 할만한 스티븐 스필버그는 요 몇년사이에 그 이름앞에 예술이라고 불리는 미묘한 어떤 것을 욕망하는 존재가 되어버린 느낌이다. 오락 혹은 산업과 예술이라는 아슬아슬한 줄타기가 영화라는 매체의 딜레마라면 90년대 이후 스필버그는 스스로 이 딜레마속에서 헤엄치기로 작정한 듯 보인다. 그러나 이직 결승점에 도착하기엔 그의 유영이 불안하다. 그는 너무 망설인다. 마치 전력질주를 하다 결승점 바로 앞에서 걸아가는 형국이라고나 할까?... 그는 자신의 배경에서 자유롭지 못한 듯 하다. 유대인이라는 정체성은 쉰들러 리스트를 삼천포에 빠뜨렸고, 백인이라는 그의 피부색은 아미스타드를 하얀색으로 칠해버렸다. 존경받는 선배 큐브릭의 후광을 이용해보기도 하고 잡을테면 잡아보라며 자신만만하기도 하지만 그의..
자신의 죽음이 코 앞에 닥쳐왔다는 사실을 아는 것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유용하게 사용하는 생활용품들이 순식간에 자신을 죽이는 살인도구로 변한다는 것등 데스티네이션은 우리가 막연하게 느끼는 어떤 공포감이나 단순한 징크스로 인해 느끼는 불안함에 주목하면서 상당히 좋은 영화 소재를 생각해 냈다고 생각한다. 초반부. 영화는 알렉스의 불안한 모습과 왠지 불안하게 깔리는 음악 그리고 주위의 각종 음향을 통해 막연한 공포감을 점점 확대시킨다. 정말 뭔가 일어날 것만 같은 분위기를 팍팍 풍긴다. 결국 비행기의 폭발이라는 사건이 터지고 여기서 죽어야할 운명에서 살아남은 몇명의 인물들이 남는다. 나는 이쯤에서 감독이 사건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에 무척 관심이 생겼다. 즉 운명이라는 소재를 어떤 식으로 풀어갈 것인지에 대..
날 한대 쳐봐... 괜찮아, 쳐 보라니까? ... 괜. 찮. 아. 그냥 한 대 쳐. please 결국 나의 주먹은 나의 얼굴을 때렸다. 퍽... 결국 나의 주먹은 나의 배를 갈겼다. 팍... 나... 그 자리에 고꾸라졌다. 내 코는 빨간색 분비물을 쏟아 내더군. 아... 달콤 쌉싸름한 이 맛... 나 불면증이 치료되어 버렸어. 눈이 스르르 감겼지.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었어. 여기가 어딘가 생각해 봤지. 입술이 툭 튀어나온 검은 턱시도를 입은 것이 미끄러지라고 말하길래 미끄러졌어... 점점 더 깊은 곳으로 미끄러져 들어갔어. 눈을 뜨면 아마 난 존 말코비치의 머리속에 들어와 있을지도 모르지. 아... 잠깐. 컷... "지금 들어오신 동굴은 그 동굴이 아니오니 다시 되돌아가세요. 길을 잘 모르시겠다구요? 그..
데이비드 핀처감독의 관심은 남자라는 생물체에 주로 머문다. 그는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남자라는 생물이 파생시킨 사회적 유산들과 헤게모니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인다. 그렇다고 그가 여성차별적이라거나 여성비하적이라는 뜻은 아니다. 단지 그는 남성지배사회에 대한 불안을 여성의 신체를 통해 표출하기를 시도하는 것 뿐이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데이비드 핀처의 스타일이다. 뿐만 아니라 , 에 이르기까지 그의 영화에서 여성은 남성의 불안과 강박관념이 표출되는 공간이었다. 데이비드 핀처에 대해 얘기할때 빠질수 없는 것중의 하나는 당황스럽게도 마돈나라는 POPSTAR이다. 그가 그녀의 뮤직비디오를 몇 편 감독했고, 그 작품들은 마돈나의 자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보다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것은..
WELCOME TO THE HELL 지금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다면. 내가 지금 발 딛고 서 있는 땅이 어디인지 모르겠다면. 그렉 아라키 감독에게 물어봐. 그렉 아라키 : (진지한 표정으로) NOWHERE 하긴 여기가 한국이면 어떻고 미국이면 어떻고 트리니다드 토바고면 어떠냐. 이미 세계는 한 이불 덮고 자는 처지. 이제 막 20대에 접어든 젊은이들 역시 동시대성을 피해가지 못한 채 서로 어깨동무하고 놀고 있지 않은가. 최고의 놀이는 마약과 약물중독 그리고 섹스. 영화속 등장 인물이 미국 젊은이들이라고... 아니... 자세히 보면 매일 학교식당에서 같이 밥먹는 친구들일걸. 몇년 전 사운드트랙을 사놓고 열심히 들었던 그 영화를 드디어 봤다. 그렉 아라키의 무정부주의는 이 영화에서도 여전했다. 이런 세상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