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밀 들라마레 감독의 은 사실 감독의 이름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영화다. 대신 가장 관심이 갔던 건 예전에 정말 재미있게 봤던 야마카시 액션 영화 의 리메이크라는 것. 과연 그때의 재미를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을까 하는 것. 하지만 결과는 뭐, 별로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우선 을 볼 때 느꼈던 신통 방통하던 액션들이 지금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많은 액션 영화에서 변주되어서 인지 신선했던 그 느낌이 많이 상쇄되어버렸다. 의 오프닝 공사장 액션 시퀀스라든가, 에서도 야마카시 혹은 파쿠르라 불리는 액션은 오리지날 영화인 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소비되었다. 그래서인지 너무 늦은 리메이크는 큰 재미로 다가오지 못한 셈이다. 더욱이 스토리의 구조에 신경 쓰지 않는 영화이다 보니 더욱 몰입할만한 부분..
제임스 폴리 감독의 는 생각보다 잔잔한 영화였다. 하지만 주인공인 에이단 퀸과 다릴 한나가 꽤 매력있게 나온다. 1986년 국내 개봉 때 보고 싶었던 영화였는데, 아직 어린 학생이었던 관계로 보지 못하고 있었다. 이 영화의 비디오는2001년쯤 폐업하는 비디오가게에서 천원주고 샀던 것 같은데, 이제서야 봤다는… 비디오에 곰팡이 같은 게 피어있어서 조금 고생을 하며 보았다. 최근에는 주로 TV에서 활동하는 듯 보이던데, 80~90년대에 이나 , 같은 작품을 연출하기도 했던 제임스 폴리 감독의 데뷔작이다. 작은 마을에 살고 있는 쟈니(에이단 퀸)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외톨이 반항아. 그래도 예전엔 풋볼 선수로 재능을 보이기도 했는데, 지금은 그것도 흐지부지다. 쟈니는 답답한 이 시골 마을에서 멀리 떠나기..
잭 헤일리 주니어 감독의 다큐멘터리 은 춤을 통해 할리우드 영화의 역사를 훑어본다. 원시시대부터 인간은 춤으로 자신을 표현했다면서, 영화의 시작에서도 춤은 가장 중요한 볼거리 중의 하나였다고 한다. 영화가 막 시작된 초창기에는 위대한 댄서들이 카메라 앞에서 춤 추는 것을 천하게 생각했다고 하는데, 결국 영화가 대중의 시선을 사로 잡으면서 실력 있는 댄서들이 화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것.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뮤지컬 장르의 발전 과정을 통해, 그 속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춤의 세계를 만들어냈던 프레드 아스테어나 진 켈리를 중심으로 진저 로저스, 시드 채리스 같은 위대한 뮤지컬 배우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이 다큐에서 내 눈을 가장 먼저 황홀하게 만든 것은, 역시 버스비 버클리가 보여주었던 30년대 뮤지컬..
야마카시 혹은 파쿠르를 소재로 한 영화에 관심이 많이 가는 편이다. 프랑스 영화 을 본 이후 영화속에서 파쿠르 액션은 나에게 꽤 흥미 있는 소재가 된 셈이다. 그러니까 을 보며 느꼈던 그 아드레날린 넘치는 액션의 흥분감을 다시 한번 느끼고 싶다. 이런 감정일수도 있을테고 말이다. 하지만 이후 파쿠르를 접목한 영화들은 대부분 만족스럽지 못한 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전에 개봉한 테일러 로트너가 주연한 가 파쿠르를 소재로 차용한 액션영화라길래 어쩔수 없이 또 한번 호기심 발동, 이번에 제대로 된 파쿠르 혹은 야마카시 액션을 볼 수 있을까라는 기대도 살짝.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영화의 완성도도 파쿠르 액션도 밋밋하기 짝이 없는 3류 영화일 뿐이어서 실망. 빚에 허덕이는 가난한 청년 캠(테일러 로트너)은 ..
마이클 위너 감독의 은 아메리카 인디언이 주인공인 서부극이지만, 전통적인 서부극의 전통에서 벗어나 있는 수정주의 서부극이기도 하다.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이 연상되기도 했던 작품이다. 그리고 연기를 하는 듯 안하는 듯 살짝 찡그린 무표정의 찰슨 브론슨도 멋지고, 조금씩 지쳐가는 잭 팔란스의 연기도 좋더라는... 인디언과 백인의 혼혈인 차토는 술집에서 술 한잔 마시려다 마을 보안관에게 모욕을 당한다. 실갱이중 보안관을 죽이게 된다. 백인을 죽였다는 이유로 정당방위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에 마을 백인남자들은 차토를 죽이기 위한 팀을 구성한다. 남부군 출신인 잭 팔란스를 중심으로 구성된 그들은 차토를 뒤쫓는다. 하지만 영민한 차토가 그들을 따돌리기 시작하면서, 오랜 뒤쫓음에 지친 백인들은 그들 스스로 싸우기..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을 다 보고 나선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감동받기가 쉽진 않구나. 이냐리투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도 알 것 같고, 영화의 완성도도 훌륭했다. 하지만 소소한 에피소드 몇 개를 제외하고 이 영화의 거대담론이 내게 감흥을 주진 않았다. 잊혀진 배우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싶어하고, 비상을 꿈꾸는 스토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꿈과 용기를 심어줄 수도 있을 테지만, 역시 내겐 너무 익숙한 주제의 변주라는 생각이 먼저 들어버린 탓이다. 그럼에도 몇몇 장면은 인상적이었다. 특히 엠마 스톤이 아버지로 분한 마이클 키튼의 가슴에 얼굴을 묻는 장면, 뭉클했다. 거대 담론을 보며 느끼는 경이감도 좋지만 이런 소소한 순간이나 찰나를 잡은 장면들이 오히려 더 감동적일 때가 많다. ..
는 예전에 2편 동시상영관에서 봤던 영화다. 이런 B급 격투기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마 그때 같이 상영했던 다른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에 들어갔을 것 같다. 그런데 가 생각보다 재미있었다. 아직도 가끔 기억이 날 정도로. 그리고 장 끌로드 반담을 처음 알게 된 영화이기도 하다. 이후 반담이 출연하는 온갖 반담 시리즈는 다 본 듯. 기억나는 것만 해도 , , 그 외에도 , 그리고 막바지에 까지 보고 반담을 졸업했던 것 같다. 며칠전에 올레tv에 가 있길래 다시 보게 되었다. 오랜만에 본 는 참 빈티지한 느낌이 나는 B급 액션물일 뿐이었지만, 여전히 재미는 있더라. 역시 장 끌로드 반담은 에서 제일 풋풋하다. 미국의 킥복싱 챔피언인 에릭이 태국 챔피언 탕푸와의 대결을 위해 방콕으로 온다...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는 무엇보다 음악이 굉장히 좋은 영화다. 또한 선생과 학생의 기싸움이 대단한 영화다. 그리고 영화 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굉징히 이기적으로 변해버리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앤드류는 스스로 음악에 재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스펙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사회를 기만하며 거들먹 거릴줄도 안다. 그리고 아주 열심히 연습도 한다. 그러니까 성공하기 위해 노력할 줄도 안다. 플렛처 교수는 안하무인이다. 자신의 교육방식이야말로 제대로 된 뮤지션을 길러낼 수 있다는 자신만만한 독선가다. 그만큼 그의 자존심은 견고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앤드류와 플렛처 교수, 둘은 모두 실패한다. 플렛처는 자신의 제자 중의 한명이 자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의 고압적 교육방식 때문이라 생각한 관계자들에 의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