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위플래쉬>는 무엇보다 음악이 굉장히 좋은 영화다. 또한 선생과 학생의 기싸움이 대단한 영화다. 그리고 영화 <위플래쉬>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굉징히 이기적으로 변해버리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앤드류는 스스로 음악에 재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스펙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사회를 기만하며 거들먹 거릴줄도 안다. 그리고 아주 열심히 연습도 한다. 그러니까 성공하기 위해 노력할 줄도 안다. 플렛처 교수는 안하무인이다. 자신의 교육방식이야말로 제대로 된 뮤지션을 길러낼 수 있다는 자신만만한 독선가다. 그만큼 그의 자존심은 견고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앤드류와 플렛처 교수, 둘은 모두 실패한다. 플렛처는 자신의 제자 중의 한명이 자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의 고압적 교육방식 때문이라 생각한 관계자들에 의해 해임된다. 하지만 그의 해임에는 최근 문제가 있었던 앤드류의 증언이 주요했다. 앤드류는 악착같이 자신이 성공할 방법을 찾는다. 그는 정말 동물적이라 할 만큼 야생적인 생존본능을 보여준다. 선배 드러머의 악보가 사라진 것을 기회로 그는 기회를 잡는다.
마지막 연주회 장면이 아주 인상적이다. 겉으로 앤드류는 최고의 연주를 선보이고, 플렛처는 자신의 교육의 결실을 보는 느낌이다. 듣는 관객들은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서로 못 잡아 먹어서 안달인 상태다. 이런 아이러니, 두사람 개개인의 노력이 적이라 할 서로의 성공을 위한 밑받침이 되고 있는 아이러니. 그러니까 자신이 가장 미워하는 상대를 띄우고야 마는 아이러니, 앤드류의 기막힌 연주의 공은 그를 가르친 플렛처에게 갈 지도 모른다. 플렛처는 다시 선생이 될지도 모른다. 또한 플렛처는 앤드류를 주류 메인스트림의 유명 연주자로 밀어 올릴지도 모른다. 완벽하게 무너지게 만들려고 했던 그 제자를 말이다.
완벽한 예술이란 완벽한 노력으로 이뤄지는 인간승리라는 도덕적 질문이 여전히 유효한건가? 다미엔 차젤레 감독은 혹시 재능은 축복이지만 그 뒤에 완벽한 약육강식의 생존 논리라는 동물의 왕국이 있음을 말해주고 싶었던 건가? 이 영화를 보며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마저도 어쩔 수 없는 삶의 아이러니를 느낀다. 그런 아이러니. 그들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음악과 연주는 그들의 추악한 내면을 완벽하게 차단해준다. 결국 눈에 보이는 것만 믿게 되는 인간이라는 존재.
감독은 어떤 해답도 주지 않는다. 삶의 아이러니. 그걸 알아차리든, 그냥 노력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든, 그건 관객의 몫일 뿐이다. 감독은 먹이를 던지는 것에서 희열을 느낄뿐이다.
개봉 : 2015년 3월 12일
감독 : 다미엔 차젤레
출연 : 마일즈 텔러, JK 시몬스
'외국영화 > 미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드맨 Birdman (0) | 2018.06.30 |
---|---|
어벤져 Kickboxer -쟝 끌로드 반담의 시원한 발차기 (0) | 2018.06.30 |
부라디 썬데이 Rollercoaster (0) | 2018.06.30 |
푸라잉 킬러 Q/the winged serpent (0) | 2018.06.27 |
찰스 브론슨의 추방객 Death Wish (0) | 201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