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세계 The Lost World 1920년대 무성영화 시대의 특수효과를 볼 수 있는 영화. 조르주 멜리에스의 여러 가지 실험 이후 특수효과는 이미 무성영화시대에 상당한 완성도를 갖춘셈이다. 물론 당대의 눈높이에 맞춰 생각해야 한다. 1925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영화지만 배경은 영국의 런던이다. 신문기자 말론과 과학자들이 아마존에 생존하고 있다는 공룡의 후예들을 찾아 모험을 떠나고 공룡 한 마리를 런던으로 무사히 데려온다. 그러나 공룡은 도시를 파괴한 후 다시 바다로 사라져 버린다. 이 소동의 와중에 말론은 진정한 사랑을 찾는다는 내용. 해리 호잇 감독의 는 무엇보다 유성영화시대 이후 거대 동물이 도시를 휩쓸어버리는 영화들의 효시라고 할 만하다. 몇 년 후 이 영화에서 특수효과를 담당했던 윌리스 ..
황금우리 La jaula de oro 2013년 칸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작품. 디에고 쿠에마다 디에즈 감독이 현재 중남미 국가에 살고 있는 젊은이의 삶을 과감없이 드러낸 작품이다. 이런 유형의 영화를 보고 나면 그나마 한국에 태어난 걸 다행이라고 여겨야 하나 싶은 생각이 절로 들기도 하는데, 그만큼 그 쪽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이 비참해 보이기 때문이다. 과테말라에 살고 있는 10대 후반의 세명의 친구 후안, 사라, 사무엘은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으로 불법입국하기로 한다. 그러나 그 길은 쉽지 않다. 몇차례 고난을 겪으며 사물엘은 중도 포기하고, 아메리카인디언인 차우크가 그들과 합류한다. 그러나 미국으로 가는 길은 그야말로 지옥의 여정이다. 과테말라에서 멕시코를 거..
아내여, 장미처럼 妻よ薔薇のやうに, Wife! Be Like A Rose! 나루세 미키오 감독의 1935년 작품. 나루세 특유의 관조적인 화면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인물들의 감정이 물 흐르듯 유려하게 다가온다. 조강지처와 딸을 버려두고 게이샤와 살림을 차린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딸의 이야기. 이렇게 보면 다분히 지지고 볶는 신파조의 막장드라마 구조로 보이는데, 나루세 감독은 주요 인물들의 감정을 최대한 절제하면서 서정적인 화면으로 막장 대신 고급스러움을 만든다. 1935년의 스토리라 지금의 상황에 대비하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 영화에서는 아버지의 처지를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말한다. 두 명의 아내를 둔 아버지가 후처를 선택하는 이유는 그녀가 남편에게 순종적이고 가족을 위해 희생할 줄 아는..
먼데서 온 여자 - 윤정희가 출연한 삼류영화 중의 하나 윤정희의 많고 많은 영화중에서 잘난 영화보다는 그렇고 그런 영화에 속할 만큼 아니 솔직히 말해 구질구질한 영화중의 한편이다. 여동생의 죄를 대신 뒤집어 쓰고 복역중인 모범수 수현이 아들을 만나기 위해 휴가를 가는 동안 남준이라는 남자에게 애정을 느끼게 되는 이야기. 무엇보다 정인엽 감독 특유의 무신경한 연출이 두드러진다. 사실 쇼트와 쇼트가 연결되어 영화가 완성되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이다. 게다가 같은 시간과 장소라면 설사 다른 날에 촬영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의상이나 소품, 분장등을 통일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배우의 머리모양조차 맞추지 못한다. 이런 무신경함이라니. 이건 충분히 시사회나 편집과정에서 잘못을 인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
아녜스 바르다의 해변 Les Plages D'Agnes - 위대한 여감독의 자서전 세계 영화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여류감독. 아네스 바르다. 그녀가 80살이 되어 자기 자신을 반추해보는 다큐멘터리를 찍는다. 바로 . 키도 작은 그녀가 백사장에 발자국을 남기며 아장아장 걷는다. 진정한 예술가에게는 천진난만함이 있다. 아네스, 그녀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기회가 되어 이 영화를 보게 된다면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어쨌거나 한 시대를 풍미하여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온 인물의 이야기는 언제나 감동적이다. 영화 안에서 잠시 나르시시즘에 빠진다고 해도 충분히 이해한다. 아네스 바르다는 그녀의 삶을 반추한다. 자신의 인생, 자신의 영화, 자신의 삶을 이토록 자신감있게 자랑할 수 있는 인생이란 얼마나 행..
항거: 유관순 이야기 - 독립투사 유관순을 기억하며 유관순이라는 인물에 대해 감동하고 공감이 되고 존경심을 갖게 된다. 글이나 역사책에서 접할 때 보다 처럼 영상으로 접하게 되면 그 생생함이 글자보다 몇 곱절 더 진하게 전달되고 몰입감과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도금봉이 유관순으로 열연했던 윤봉춘 감독의 1959년 작품 역시 감동적이었다. 하긴 유관순의 치열한 삶 자체가 감동 그자체이며, 영화보다 더 영화적인 것도 사실. 풍부한 질감의 화면으로 극영화의 본질에 충실했던 윤봉춘 감독의 1959년 작품에 비해 조민호 감독의 는 스타일을 미니멀하게 가져감으로써 다큐멘터리적인 터치를 강조하면서 사실감을 중시한다. 여성 독립투사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에서는 유관순을 히어로로 그리기 보다는 한명의 인간으로 그리길 ..
킬링 소프틀리 Killing Them Softly - 미국은 나라가 아니다 앤드류 도미닉 감독의 . 미국은 나라가 아니라 전체가 비즈니스 사회다라고 말하기 위해 느릿느릿 종착지로 향한다. 그러니 국가 구성원들간의 공동체 의식이라든지 선한 의지는 돈의 위력에 한낱 공염불에 불가한 셈이다. 아무리 미디어에서 오바마가 등장해 미국은 강한 나라, 선한 나라라고 미사여구를 날리며 국민을 세뇌시키려 하지만, 작금의 현실을 축소한 내러티브안의 갱들은 돈을 위해 서로 배신과 죽음의 총알을 날릴 뿐이다. 미국은 비즈니스 사회일 뿐이다. 명확한 주제의식이 돋보이긴 하지만 이 영화의 결말까지 가기 위해서는 약간의 인내심은 필요하다. 갱영화의 익숙한 패턴을 액션이 아니라 대사에서 가져오기로 하면서 이 영화는 연극을 보는 것 ..
홍콩에서 온 마담장 / 홍콩서 온 마담장 1960년대 후반과 70년대가 시작되면서 제목에 ‘홍콩’이라는 제목을 단 영화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아마도 홍콩이라는 공간이 낯설고 새로운 이국적인 요소가 더해지는 장소이면서, 당시 왕우가 주연했던 일련의 성공한 무술영화들의 영향으로 폭력과 격투라는 액션의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었던 때문인 것 같다. 신경균 감독의 1970년 작품 은 스토리상 여주인공이 홍콩에서 꼭 와야 할 필요는 없어 보이지만 홍콩출신이라는 사실만으로 그녀에게는 힘과 돈이 주어진 것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게 되기도 한다. 즉, 스토리상 천애고아인 그녀가 어떻게 부를 일구고 무술을 익혔는지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 영화는 오직 친일파에게 죽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 잃어버린 동생을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