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을 잃은 잉그리드에게는 남편 모튼이 있다. 모튼은 그녀에게 집안에만 있지말고 바깥 나들이라도 할 것을 권유하곤 한다. 그러나 잉그리드는 밖으로 나가는 대신 집에 틀어박혀 노트북으로 자신만의 소설을 쓴다. 소설속에서는 남편과 남편 친구 에이너. 에이너가 좋아하는 여자 엘렌등이 등장해 잉그리드의 상상력의 세계에서 살아간다. 세상에 나설 자신감도 없고, 남편에게 사랑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소설 속에 그대로 재현된다. 에스킬 보그트 감독은 맹인여성의 심리를 꽤 진지하면서도 깊이 있게 들여다본다. 장애인이 되었다는 잉그리드의 불안한 심리를 급작스럽고 혼란스런 편집으로 드러낸다. 잉그리드가 내면으로만 침잠하면서 만들어낸 소설 속에서 남편 모튼, 남편의 친구 에이너, 그리고 잉그리드의 분신이기도 할 엘렌..
뤼미에르 형제가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기차의 모습을 찍은 필름을 상영했을 때, 극장에 있던 관객들은 그야말로 혼비백산이었다고 한다. 실제 기차가 그들에게 달려드는 것으로 착각했다는 것이다. 1895년. 영화는 그렇게 탄생했고, 대중앞에 선보였다. 그야말로 스텍터클이다. 영화는 어쩌면 처음부터 서스펜스 스릴러 액션영화로 관객에게 돌진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시간이 흘렀다. 이제 많은 사람들은 뤼미에르의 영화가 리얼리즘 영화의 시작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리얼리즘은 객관적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앙드레 바쟁 식으로 말하면 현실의 순수한 모방이다. 그리고 뤼미에르의 영화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시작이라고도 한다. 무엇보다도1분도 되지 않을 것 같은 이 순수한 영화체험은 바로 시네마 천국의 시초였던 셈이..
조르주 멜리에스도 뤼미에르 형제의 필름을 극장에서 보았을 거다. 마술사였던 그는 진짜 마술같았던 그 황홀경에 곧 도취되었을 것이다. “오, 뤼미에르여, 그대들이 진짜 마술사요” 곧 영화가 끝난 후 극장을 나선 멜리에스는 스크린 위에서 마술처럼 점멸하던 장면들과 같은 이미지가 자기의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곧 멜리에스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대로 복사한 영화에 싫증을 났을테고, 마술사라는 직업을 위해 익혀두었던 트릭을 필름에 재현해보았을 것이다. 그렇게 은 세상에 나타나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1902년 세상에 나타난 은 두번째 황홍경으로 세계 영화사에 기록되어 있다. 뤼미에르 형제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대로 필름에 담아, 그야말로 움직이는 사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조르주 ..
벤 팔머 감독의 은 사이먼 페그와 레이크 벨의 밀고 당기는 사랑게임이 꽤 재미있다. 그러니까 로맨틱 코미디는 이런 재미로 본다고 할까? 예상 가능한 스토리였지만 그 꽁냥꽁냥을 외면하긴 힘들다. 몇 년 째 싱글인 낸시. 부모님의 40주년 결혼 기념일 가족 모임에 가기 위해 부모님 집으로 가는 기차. 앞자리에 앉은 어떤 여자의 데이트 상대와 어쩌다 보니 대신 데이트를 하게 된다. 그의 이름은 잭이고, 귀엽고 유머감각도 있는 40살의 남자다. 결국 엉뚱하게 데이트를 하게 된 두사람. 잭과 낸시는 어떤 면에서 너무 소심하고, 어떤 면에서 너무 대범하다고 해야 하나? 그렇게 하루 동안의 데이트를 쌓아가며 서로 사랑을 확인한다. 재미있는 장면들이 많다. 그들이 만나는 설정 자체는 익숙한 편이라 진부하다 할 만하지만..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을 다 보고 나선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감동받기가 쉽진 않구나. 이냐리투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도 알 것 같고, 영화의 완성도도 훌륭했다. 하지만 소소한 에피소드 몇 개를 제외하고 이 영화의 거대담론이 내게 감흥을 주진 않았다. 잊혀진 배우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고 싶어하고, 비상을 꿈꾸는 스토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꿈과 용기를 심어줄 수도 있을 테지만, 역시 내겐 너무 익숙한 주제의 변주라는 생각이 먼저 들어버린 탓이다. 그럼에도 몇몇 장면은 인상적이었다. 특히 엠마 스톤이 아버지로 분한 마이클 키튼의 가슴에 얼굴을 묻는 장면, 뭉클했다. 거대 담론을 보며 느끼는 경이감도 좋지만 이런 소소한 순간이나 찰나를 잡은 장면들이 오히려 더 감동적일 때가 많다. ..
는 예전에 2편 동시상영관에서 봤던 영화다. 이런 B급 격투기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마 그때 같이 상영했던 다른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에 들어갔을 것 같다. 그런데 가 생각보다 재미있었다. 아직도 가끔 기억이 날 정도로. 그리고 장 끌로드 반담을 처음 알게 된 영화이기도 하다. 이후 반담이 출연하는 온갖 반담 시리즈는 다 본 듯. 기억나는 것만 해도 , , 그 외에도 , 그리고 막바지에 까지 보고 반담을 졸업했던 것 같다. 며칠전에 올레tv에 가 있길래 다시 보게 되었다. 오랜만에 본 는 참 빈티지한 느낌이 나는 B급 액션물일 뿐이었지만, 여전히 재미는 있더라. 역시 장 끌로드 반담은 에서 제일 풋풋하다. 미국의 킥복싱 챔피언인 에릭이 태국 챔피언 탕푸와의 대결을 위해 방콕으로 온다...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는 무엇보다 음악이 굉장히 좋은 영화다. 또한 선생과 학생의 기싸움이 대단한 영화다. 그리고 영화 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굉징히 이기적으로 변해버리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앤드류는 스스로 음악에 재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스펙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사회를 기만하며 거들먹 거릴줄도 안다. 그리고 아주 열심히 연습도 한다. 그러니까 성공하기 위해 노력할 줄도 안다. 플렛처 교수는 안하무인이다. 자신의 교육방식이야말로 제대로 된 뮤지션을 길러낼 수 있다는 자신만만한 독선가다. 그만큼 그의 자존심은 견고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앤드류와 플렛처 교수, 둘은 모두 실패한다. 플렛처는 자신의 제자 중의 한명이 자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의 고압적 교육방식 때문이라 생각한 관계자들에 의해 해..
마르코 벨로키오는 이탈리아의 좌파 감독으로 유명하다. 그는 항상 정치를 자신의 영화의 중심부에 둔다고 알려져 있다. 정치와 섹스를 연결하여 사고하는 것은 여러 감독들이 즐겨 차용한 사회비판의 방식이기도 했다.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1986년 작품인 는 바로 이런 성과 정치를 연결시킨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대표작으로 오르내리는 작품은 아니다. 고등학교 수업시간. 교실 밖으로 보이는 지붕위에 란제리 차림의 한 흑인여인이 미친 듯 고래고래 고함을 지른다. 이에 학생들뿐만 아니라 주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집에서 나와서 이 광경을 보고 있다. 그들 중에 줄리아가 있다. 교실에 있던 안드레아는 줄리아에게 반해, 그녀를 미행한다. 집을 나선 줄리아는 테러리스트에게 희생당한 아버지의 무덤에 꽃을 바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