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y5iJ/btqtT6L9Kkv/HuNnQqThn95egkB6YAzMC1/img.jpg)
돌아오지 않는 해병 - 이만희 감독의 한국전쟁영화의 걸작 거장 이만희 감독의 1963년 작품 의 첫 시퀀스에 나오는 전투장면은 너무나도 박진감이 넘친다. 흡사 스필버그 감독의 의 초반부를 떠올리게 하는 장면이다. 물론 헐리우드의 물량 공세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이만희 감독은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최고의 효과를 내면서 찍었다는 생각이 들고 보면 오히려 스필버그의 연출보다 더 좋아서 숭고함마저 느끼게 한다. 이후 이어지는 북한군과의 대치상황. 재미있는 것은 이만희 감독은 북한군을 그다지 자세하게 묘사하지 않고 보여주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영화 후반부는 북한군이 아닌 중공군과의 전투를 보여준다. 그러다보니 이만희 감독은 동족인 북한군을 적으로 묘사하는 것에 주저하고 있다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
산부인과 의사 송희와 동료 의사 원규는 서로 사랑하지만 표현에 서툴다. 같은 병원 간호사 자영 역시 원규를 짝사랑하면서 적극적으로 다가가지만 번번이 원규로부터 거절당한다. 병원에 소설가 민도의 아내가 입원하게 되는데, 민도는 송희에게 흑심을 품는다. 민도는 집요하게 송희와 만남의 시간을 만든다. 이렇게 송희와 원규는 자영과 민도로 인해 오해 아닌 오해를 한다. 결국 원규가 앓아 눕는다. 자영은 의도적으로 송희와 만나지 못하게 한다. 이 와중에 민도는 송희를 강간한다. 이 상황에서 아버지마저 송희를 비난하자 자살을 결심하고, 뒤늦게 소식을 들은 원규가 송희의 자살을 막으며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다. 영화 상영시간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분량에서 사운드가 소실되어 대사를 들을 수 없다. Kmdb의 영화 줄거리를..
변장호 감독의 1971년 작품 은 눈물이 눈물을 불러오고, 사소한 엇갈림의 비극이 비극을 쌓아가는 전형적인 신파영화의 구성을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낡았다는 느낌이 그다지 많이 들지 않는 영화다. 아마도 사건의 대부분이 집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면서 운명적인 삼각관계에 얽혀든 동식(신영균), 민규(최무룡), 상희(윤정희)의 심리변화를 중심으로 이끌어가고 있기 때문은 아닌가 싶다. 또한 세사람의 과거를 구구절절하게 늘어놓는 대신 회상을 통해 빠르게 전후의 사정만 설명한 후, 과연 현재에서 세 사람이 어떤 선택을 하게 될 것인가에 더 집중하면서 스토리의 늘어짐을 경계하고 있는 것도 또하나의 이유가 될 것 같다. 민규와 상희는 아들 욱(김정훈)과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다. 어느날 민규는 죽을 줄만 ..
1968년 의 메가히트는 정소영 감독을 한국 멜로드라마의 가장 대표적인 이름으로 만들었다. 그의 영화는 신파적 요소가 다분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를 적당한 선에서 절제하는 편이라서 깔끔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은 1970년에 개봉되어 흥행에 성공한 영화인데, 이 시기 정소영 감독은 이후 4편까지 만들어진 연작을 계속 만들고 있는 중이었다. 그런데 이 시리즈가 회를 거듭할수록 참신함을 상실하며 매너리즘에 빠지는 동안, 비슷한 시기에 만든 은 깔끔한 멜로드라마로 만들어진 것 같다. 마치 후편들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듯한 느낌이라면, 은 어느 정도 정성을 많이 쏟은 느낌인 것이다. 이 영화에서도 전형적인 삼각관계를 다루고 있긴 하지만, 세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악역을 배제함으로써,..
한국의 명배우 최무룡이 감독한 은 그의 15번째 연출작이다. 그리고 내가 본 유일한 그의 연출작이다. 그러나 배우로서의 최무룡은 명배우이나, 감독으로서의 최무룡은 영 젬병이 아닐까 싶다. 무려 15번째 작품이지만, 건질거라고는 문희의 발랄함, 김창숙의 세침떼기 연기, 신인여배우 유미의 얼굴정도라고 할까? 연출이라고 할만한 것이 영~~ 없다. 영화는 지나친 우연성과 작위적 설정, 개연성 없는 인물의 급작스런 심리변화 등 정신이 하나도 없는 종횡무진(?)이다. 부모가 없는 고아여서 등록금 낼 돈을 구하기 위해 술집에서 기생으로 일해야만 하는 고달픈 인생으로 등장하지만 화려한 아파트에 살고 옷은 거의 패션쇼를 방불케 한다거나, 기생을 자신의 딸로 생각한다며 스폰서를 자청하는 사장도 비현실적이긴 마찬가지지만, ..
한국 최초의 홍콩과의 합작영화이면서 최초의 컬러영화라는 타이틀까지. 필름이 사라진 이 영화가 발굴되어 개봉된다는 소식만으로도 손꼽아 상영일을 기다린 건 당연하다. 영화 상영에 앞서 이국정원을 수입하게 된 경로를 우여곡절의 사연과 함께 흥미진진하게 들었다. 사운드가 소실되어 의도치 않은 무성영화라는 점이 아쉽지만 자막이 제공된다고 하니 다행이라 여기며 영화를 보기 시작했다. 일단 나는 이 영화에 대해 발굴의 의미 외에는 영화의 수준에 대해서는 그다지 기대를 하지 않았다. 합작이라고는 해도 한국영화라 생각했으므로, 그 당시, 1957년의 영화 수준이거나 혹은 조금 못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영화를 보면서는 의외로 때깔이 좋아서 "어~" 했다. 물론 필름상태는 디지털 리마스터링을 했다고 하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