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민규와 상희는 아들 욱(김정훈)과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다. 어느날 민규는 죽을 줄만 알았던 둘도 없는 친구 동식의 전화를 받는다. 사실 민규의 아들 욱은 동식의 아들이었던 것. 반갑게 집으로 데려온 민규는 자신의 아내가 예전 동식의 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생각지도 못했던 운명의 장난에 세 사람은 힘들어 한다. 동식, 민규, 상희는 서로 자신이 떠나야 할 사람이라며 눈물짓는다. 동식은 아들 욱만을 데리고 떠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결국 욱마저 그들에게 돌려보내고 홀로 떠난다.
전형적이라 할 만큼 한국적인 삼각관계스토리다. 하지만 변장호 감독은 비극의 원인을 탓하며 과거를 물고 늘어지지 않는 것과, 연극적 스타일로 극을 연출하면서 어느 정도 전형성에서 탈피한다. 물론 동시과 민규 사이에 상희가 들어서는 과정이 약간은 작위적인 우연성에 기대고 있긴 하다. 또한 한정된 공간에서 인물들이 반복적인 대사를 구사하고 있어 살짝 지루한 부분도 있다. 제목에 맞추느라 그런건지 하늘은 맑아도 비는 자꾸 내리는데, 그런 부분의 섬세한 연출의 부족도 아쉬운 점이다.
단역을 제외하고 단 4명의 인물이 한정된 공간에서 90분 동안 영화를 끌고 가기 때문에 배우들의 연기력이 아주 중요한 영화라고 할 수 있는데, 신영균과 최무룡의 연기대결이 볼 만하고, 특히 신영균을 빗속을 헤멜 때 들려오는 최무룡이 직접 부른 주제가가 참 좋았다. 당대의 기준으로 봤을 때 여타 신파드라마와 차별을 두려는 감독의 고민이 느껴지는 작품이기도 했다.
개봉 : 1971년 11월 27일 국도극장
감독 : 변장호
출연 : 윤정희, 신영균, 최무룡, 김정훈
'한국영화 > 1970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정 - 최하원감독 김영애 한진희가 열연한 70년대 숨겨진 걸작 (0) | 2018.10.06 |
---|---|
인간사표를 써라 - 배우 박노식의 대단한 감독 데뷔작 (0) | 2018.10.06 |
행운 - 재벌 성속녀의 남편찾기 (0) | 2018.10.03 |
얄개행진곡 - 석래명 감독의 만든 고교얄개의 공식 속편 (0) | 2018.10.03 |
아리송해 - 가수 이은하의 히트곡을 영화화한 코미디 (0) |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