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낙타는 검문소의 차단기가 내려와 있어도 전혀 구애받지 않고 이쪽과 저쪽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낙타에게는 자유가 있다. 그런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그리고 중동이라는 지리학적 구도 속에서 국가가 강요하는 폭력을 견디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유가 없다.
성인잡지의 요란한 누드사진 속 여자의 가슴을 X표시로 가려보려 해도 유두는 튀어나오는 것처럼, 두 눈을 가린다고 해서 진실을 덮을 수는 없다. 눈물은 흐르기 위해 존재하는 것. 결국 국가가 강요한 폭력의 흔적을 땅에 묻는다고 진실마저 같이 묻힐 순 없고, 아들을 그 국가가 강요하는 폭력에서 구출해 낼 수도 없는 것이 폭력의 구조를 만들어내고야 만 인간이 처한 딜레마다.
사무엘 마오즈 감독이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자연스럽게 한국의 과거도 떠올리게 한다. 폭력의 이데올로기가 이름만 바꿔가며 시대와 장소에 등장하곤 한다. 그러니까 좋은 의미로 출발한 이즘이 파시즘으로 진화하는 건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나고 있으니까 말이다. 꽤 묵직한 영화로 기회 되면 한 번 볼만하다.
'외국영화 > 아시아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인의 낙인 殺しの烙印, Branded To Kill (0) | 2020.04.23 |
---|---|
클로즈업 Nema-ye Nazdik (0) | 2020.04.21 |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 My Blueberry Nights (0) | 2019.09.25 |
아내여, 장미처럼 妻よ薔薇のやうに, Wife! Be Like A Rose! (0) | 2019.09.17 |
긴자화장 - 삶을 살아가는 그녀 (0) | 2019.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