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하얀 미소>는 김수용 감독의 영화중에서 흥행에 성공하지도 못했고, 그렇다고 특별히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도 아니다. 어쩌면 이 영화를 기억하는 사람들도 소수에 불과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이 영화가 참 좋다. 이 영화는 김수용 감독의 숨겨진 가작이라고 생각한다. 70년대에서 80년대로 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가난했던 한국사회의 모습을 상업전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가난하고 소외된 학생들의 여러모습을 통해 잘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김수용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직접적으로 사회를 비판하기 보다는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꿈을 잊지 않는 청소년들과 그들을 옳은 길로 인도하려는 선생님들의 모습을 통해 내일의 희망을 얘기하고자 하는데 더 비중을 두고 있다. 그래서 이 영화는 무거움 대신 따뜻한 감성을 드러내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70년대 하이틴 영화와 이후 계속될 80년대 하이틴 영화의 과도기적 특징을 간직하고 있는 것 또한 무척 흥미로운 지점이다.
<하얀 미소>는 내게 해바라기가 가장 아름답게 등장한 영화이기도 하다. 종팔(김영철)이 살고 있는 집으로 가는 길가에 피어있는 해바라기는 반항아인 종팔의 여리고 착한 내면의 모습이기도 하면서 또한 유선희(금보라)선생이 바라보는 희망의 모습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므로 종팔과 유선생님이 해바라기 사이로 보이는 장면이 보여주는 아름다움은 컴퓨터 그래픽의 세련됨이 따라올 수 없는 서정을 불러일으키는 정말 멋진 장면이었다.
1980년도 작품인 <하얀미소>에는 이제는 어엿한 중견연기자로 성장한 배우들의 모습을 보는 재미도 있다. 금보라와 김영철을 비롯 학생으로 출연하는 배우중에서 이혜숙의 인형처럼 예쁜 모습을 보는 것은 또 하나의 재미였고, 그 외 탤런트로 활동했던 경인선이나 가난 때문에 결국 죽고마는 순이 역의 김희진의 앳된 모습, 그 외 이름은 알 수 없지만 낯익은 얼굴도 여럿 보여서 반가웠다.
가난하지만 열심히 살아가는 상업전수학교의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서, 서정이 넘치는 화면을 바라보면서 가슴 따뜻해지는 <하얀미소>는 김수용 감독의 완성도 높은 어떤 작품보다도 내겐 좋은 작품으로 다가왔다.
개봉 : 1980년 8월 30일 코리아극장
감독 : 김수용
출연 : 금보라, 김영철, 이영호, 이대로, 사미자, 경인선, 이혜숙, 김희진, 최종원
'한국영화 > 1980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렁에서 건진 내 딸 2 - 김혜수라는 배우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다 (0) | 2018.09.23 |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 여류감독이 그려낸 지독한 반항 (0) | 2018.09.22 |
여자의 함정 - 정윤희의 멜로드라마 (0) | 2018.09.22 |
도시로 간 처녀 - 부조리함 그녀의 외침 (0) | 2018.09.22 |
레테의 연가 - 여성 관객을 겨냥한 영화 맞나요? (0) | 2018.09.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김기종
- 1970
- 박원숙
- 문정숙
- 1978
- 사미자
- 김정훈
- 전계현
- 1980
- 김희라
- 70년대 한국영화
- 신성일
- 1977
- 김진규
- 1979
- 허장강
- 이해룡
- 1981
- 최남현
- 박암
- 도금봉
- 황정순
- 1976
- 남궁원
- 박노식
- 한은진
- 윤일봉
- 문희
- 하명중
- 전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