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줄거리

작은 도시 카마쿠라에 살고 있는 세자매가 있다. 첫째 코우다 사치. 간호사이며 아내가 있는 의사와 불륜관계다

둘째는 코우다 요시노. 은행원이며 남자에게 늘 차이거나 헤어지거나 한다

셋째는 코우다 치카. 운동기구판매점 점원인데, 매사 긍정적인 편이다

이런 세 자매에게 엄마와 이혼하고 새로운 여자와 살다 헤어지고 또 새로운 여자와 사는 아버지의 부고가 온다

그녀들은 아버지의 네 번째 딸이자 자신들의 배다른 동생 아사노 스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첫째는 스즈를 집으로 데려온다. 네 자매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삶을 이해해 보려 노력하면서

그녀들만의 일상을 만들어간다. 어느덧 스즈는 소중한 가족이자 동생이 된다.

 

마음을 차분하게 해주는 잔잔한 영상미


  다같이 한 곳을 바라본다. 오즈 야스지로의 정서가 느껴진다.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잔잔함이 묻어나는 영상이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주는 영화다. 또한 거창한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라 그저 천천히 

스며들게 하는 연출도 여전히 훌륭하다. 막내동생 스즈의 존재가 잔잔한 일상에 파문이라면 

파문이다고레에다 감독은 부모와 자식을 천륜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지 않는다

그러니까 어른이 된 지금 부모와 자식은 개인대 개인이라는 관계로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 영화는 스즈로 인해 세 자매의 고요한 삶에 파문을 만드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 보다는 

이제 성인이 된 그녀들의 입장에서 아버지를 한 남자로서 이해하는 과정을 더 중시하는 것 같다

떠나버린 어머니 역시 한 여자로서 인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자식에게 얽매이기 보다는 개인으로서의 

삶을 더 중시한다고나 할까? 그런 모습을 어른이 된 자식, 특히 부모와 가장 오랜 시간을 보냈을 

첫째 사치의 입장에서 정리하고 있다. 한 개인으로서의 부모의 삶을 인정하자는 것. 자식이라고 해서 

부모의 인생을 희생하라고 요구할 수는 없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므로 스즈는 적이 아니라 

받아들여야 할 가족이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성립한다.

 

그것은 인생~

    그저 정답게 둘러 앉아 웃고마 있어도 좋아~~ 


이 영화에서는 동네에서 식당을 하는 아주머니와의 에피소드에서 보듯 정이 쌓이면 타인이라도 가족처럼 

지낼 수 있다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부모에게 얽매이기 보다는 성인이 되면 자신의 삶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2004년 작품 <아무도 모른다>에서 보듯 

지나치게 개인으로서의 부모의 삶을 중시하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10여년이 지나 만든 <바닷마을 다이어리>에서도 여전히 아버지와 어머니의 삶도 

그 자체로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삶이 있듯, 자매들에게도 자매의 삶이 있다는 것일테다

그래서일까? 그녀들은 다툼이 적고 정이 두터워 보인다. 같이 있을 때 바닷가를 거닐며 즐길 수 있는 건 

삶의 기쁨이다. 하지만 그녀들도 헤어질 것이다. 각자의 삶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그것이 인생이며 삶이라고 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님도 자매들과 같은 방향을 바라본다.ㅋㅋ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