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승 감독의 을 보면서 신상옥 감독의 를 자연스럽게 떠올렸다. 거의 리메이크라 할 정도로 보였다. 화연(조여정)과 권유(김민준)의 관계설정도 유사해 보였지만, 특히 금옥(조은지)의 에피소드는 직접적으로 와의 연관성을 짐작하게 했다. 아니나 다를까, 이 영화는 내시를 많이 참조한 영화였더라. 신상옥 감독의 도 무척 재미있는 영화였지만, 김대승 감독의 도 꽤 재미있게 봤다. 무엇보다도 속도감이 돋보였다. 물론 이 속도감 때문에 인물의 내면에 몰입할 여유가 부족해진 것은 단점이지만, 어쨌든 즐기기 위한 오락영화로서는 준수해 보였다. 은 중독에 관한 영화다. 세명의 주인공 화연, 성원대군(김동욱), 권유는 지독한 사랑에 중독된 상태다. 특히 성원대군의 사랑이 인상적인데, 그의 지독한 사랑은 이 영화의 모든 비..
박인제 감독의 은 정부 위의 정부라 할수 있는 끝없는 권력을 추구하는 집단이 있다는 것. 그들이 어떤 결정적 순간에 거대한 사건을 일으키고 여론을 조작하며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한다는 음모론을 중심에 놓고 있다. 영화가 1994년에 발암교라는 다리에서 의문의 폭파가 일어나 끊어진다는 설정에서부터 다분히 성수대교 붕괴를 떠올리게 하고, 그 외 사건의 배후에 북한이 있다는 설정을 통해 최근의 사건을 연상하게 하면서, 시의적절한 흥미를 유발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그러나 윤혁(진구)이 나타나고, 이방우(황정민)기자가 사건에 개입하면서 본격적으로 영화가 시작되면 흥미로운 소재에 비해 인물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이 타이트하게 진행되지 못하면서 영화에 임팩트를 터트릴 만한 타이밍을 놓쳐버리고 만 것 같은 느낌이다. ..
박수영 감독의 는 돈 안들인 티가 난다. 저예산 독립영화다. 시각적으로 풍만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그 여백을 채워야 한다. 기발한 아이디어라든지, 깊은 사회비판의식이라든지, 아니면 장르적으로 밀고 들어가기나 패러디 등으로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 박수영 감독은 일단 세 번째 방법을 택한 것 같다. 그래서 호러에 코믹을 버무려서 재미를 추구하면서 메시지를 살짝 도출하는 방식. 전형적이라고 할만도 하지만 저예산 독립영화에서는 꽤 매력적인 접근방식일 수 있다. 는 회사에서 해고된 노동자 김씨(이경영)가 엄사장 가족의 휴가지에서 그들을 죽이려 한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팔을 자르고, 다리를 자르는 잔혹한 장면이 이어지는데, 사건의 범인인 김씨는 “네가 짤라서 나도 짤랐다”고 말하는데..
권칠인 감독의 은 생각했던 것 보다 괜찮은 영화였다. 그리고 기대했던 것 보다 야하지 않은 영화이기도 했다. 그렇다고 실망할 것은 없는게, 이 영화의 유려한 스토리가 노출에 대한 아쉬움을 아주 가볍게 망각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렇다. 나는 유려하다고 느꼈다. 뻔하다면 뻔한 스토리지만 세 주인공의 성격을 명확하게 설정했고, 그 명확한 인물의 성격을 통해 사건이 진행되고, 플롯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영화는 물 흐르듯 진행되었고, 나 역시 부담없이 스토리에 빠져들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세 주인공인 신혜(엄정화), 해영(조민수), 미영(문소리)이 신파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신파스럽지 않게 표현했다는 것이 좋았다. 성공한 방송 프로듀서인 신혜는 사귀던 남자가 어린 여자와 결혼한 후, 다시..
- Total
- Today
- Yesterday
- 허장강
- 1977
- 박노식
- 신성일
- 1979
- 박원숙
- 하명중
- 1976
- 최남현
- 이해룡
- 1978
- 문정숙
- 문희
- 1970
- 전숙
- 사미자
- 김기종
- 황정순
- 1981
- 한은진
- 전계현
- 윤일봉
- 1980
- 70년대 한국영화
- 김정훈
- 남궁원
- 김진규
- 도금봉
- 박암
- 김희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