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는 아직까지는 문숙이다. 그렇다. 바로 의 할머니이자 에서는 돈 많은 할머니로 열연했던 바로 그 문숙이다. 조금 더 보태자면 할머니 문숙도 여전히 지지하고 있지만 실은 젊은날의 문숙을 좋아한다. 그녀가 보여준 젊은 생명력을 좋아한다고 해야 할까? 땀이 흠뻑 젖은 채 온 도시를 종횡무진 뛰어다니며 달랑 4편의 영화만 던져 놓고 홀연히 사라진 여배우 문숙에게 매력을 느낀다. 명랑소녀 우산 펼치기 신공 그러다 보니 이만희 감독과 함께 한 를 다시 보게 되었다. 역시 좋더라. 역시 문숙은 매력적이더라. 하지만 이번에는 얼마전에 작고한 신성일의 연기가 눈에 밟혔다. 피곤하고 삶에 지친 아저씨의 모습이 정말 사실적으로 보인다. 옆집 소녀를 지켜주면서 끝내주게 싸움을 잘하고, 악의 무리까지 소..
내가 좋아라하는 배우 문숙. 이만희 감독이 죽은 후 한국을 떠났던 문숙. 은 문숙의 마지막 작품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내게 의미가 있다. 문숙이 활짝 웃는 모습을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영화다. 언젠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문숙을 실제로 본 적이 있다. 40년의 세월을 건너 뛴 모습이지만 여전히 곱고 아름다웠다. 바로 앞에 있어 눈이 마주쳤는데, 나는 그 자리에서 얼어버렸지 뭔가. 싸인이라도 받아보는 건데 하며 나의 소심함을 탓했더랬다. 문숙의 마지막 영화인 박남수 감독의 은 70년대 젊음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때 젊은이들은 참 많이도 뛰어다닌다. 혼자 뛰고, 손을 잡고 뛰고, 가방을 빙빙 돌리면서 뛴다. 마치 뛰지 않으면 젊은이가 아니라는 듯이 말이다. 그렇게 이 영화의 주인공 난영과 진호도 열심히 뛰..
이만희 감독의 유작이자 소문으로만 들어보던 걸작, 1975년 작품 을 보았다. 영화를 보는 내내 온통 눈으로 뒤덮힌 황량한 벌판을 걷고 또 걷고, 언덕을 넘고 또 넘은 세사람 정씨(김진규), 노씨(백일섭), 백화(문숙)의 여정에서 묻어나는 삶에 대한 끈끈함, 정, 슬픔, 유대의 모습이 가슴 가득 꽉 차는 느낌으로 다가오면서도, 뭔가 알수 없는 상실감을 동반한 회한의 정서가 꽉 찬 가슴속을 비집고 들어오는 것 같았다. 왜 그럴까?눈덮힌 벌판을 웃으면서 뛰어오르고, 얼굴엔 함박웃음의 신명이 가득한 행복의 슬로우 모션이건만, 그래 이게 사는거지, 고생쯤이야 이렇게 한바탕 웃음으로 날려버릴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삶이지라고 말할수 있으면 좋으련만, 그건 그때 그 한 순간의 기억에만 머물다보니 슬픔의 정서가 더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