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겁이 없지 마약과 전쟁중이라는 멕시코. 결국 패배했다는 소식을 접했던 것 같은데, 이 영화를 접하고 보니 멕시코가 정말 미친 곳이구나 싶고. 암담한 현실을 호러라는 장르에 녹여낸데다 아이들이 주인공이라 그런지 더 암울하게 느껴진다. 아이들이 삶을 버티기 위해 견뎌야 한다는 것. 무지막지한 멕시코 갱은 아이들에게도 인정사정 없는데. 이런 사실적인 연출이 멕시코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는 있는데 현실에서 조차 달라질 건 없으니 판타지로 간 걸지도 모르겠다. 비슷한 소재의 영화 에서 느꼈지던 끔찍한 지옥도가 다시 생각나기도. 아이들이 주인공이라 알게 모르게 천진난만함도 느껴지곤 하는데 그런 이율배반이 비극을 더 현실적으로 보이게 한다. 그 원한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
인간병기라기엔 다소 약해도 두 사람의 콤비플레이가 좋다 리처드 도너 감독은 재미있는 영화를 많이 만들었다. 기억에 남는 것만 해도 과 가 있고, 해적이 숨긴 보물을 찾아 나선 의 악동들도 잊을 수 없다. 룻거 아우어와 미셸 페이퍼의 지고지순한 사랑이야기 는 낭만이 깃든 아름다운 화면을 보여준다. 이렇듯 할리우드에서 대중이 좋아할 만한 완성도 있는 오락영화를 만든 장인인 리처드 도너가 80년대 후반 새로운 시리즈를 내놓게 되는데 바로 시리즈다. 앞 뒤 가릴 것 없이 좌충우돌하는 멜 깁슨과 중후함을 보여주는 대니 글로버가 콤비가 되어 악을 해결하는 영화. 1987년은 매드맥스 시리즈의 성공으로 멜 깁슨이 전성기를 열기 시작하던 때다. 2년 전에는 실베스터 스탤론의 가 성공했다. 갑자기 웬 람보냐고? 멜 깁슨..
WELCOME TO THE HELL 지금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다면. 내가 지금 발 딛고 서 있는 땅이 어디인지 모르겠다면. 그렉 아라키 감독에게 물어봐. 그렉 아라키 : (진지한 표정으로) NOWHERE 하긴 여기가 한국이면 어떻고 미국이면 어떻고 트리니다드 토바고면 어떠냐. 이미 세계는 한 이불 덮고 자는 처지. 이제 막 20대에 접어든 젊은이들 역시 동시대성을 피해가지 못한 채 서로 어깨동무하고 놀고 있지 않은가. 최고의 놀이는 마약과 약물중독 그리고 섹스. 영화속 등장 인물이 미국 젊은이들이라고... 아니... 자세히 보면 매일 학교식당에서 같이 밥먹는 친구들일걸. 몇년 전 사운드트랙을 사놓고 열심히 들었던 그 영화를 드디어 봤다. 그렉 아라키의 무정부주의는 이 영화에서도 여전했다. 이런 세상에서 ..
인생의 밑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으려는 안간힘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지 않을까? 좀 더 나은 삶에 대한 지향, 만약 이 말이 너무 거창하다면 나를 지탱해주는 정체성에 대한 갈망이 인간이 지닌 가장 보편적인 욕망중의 하나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그것은 또한 라이언 플렉 감독의 하프 넬슨(Half Nelson)을 보면서 느낄 수 있었던 감정이다. 영화는 인간사의 외연을 차지하고 있는 거창한 거대담론과는 다른 내면에 숨어있는 개인담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거대담론은 항상 인간의 개인담론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영화속에서 그것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서브 플롯으로 상당히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역사속에서 일어나는 모순적인 상황을 통해 그것을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는 식으로 말이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