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권택 감독이 1978년에 발표한 은 외화수입쿼터를 노리고 만들어진 전형적인 반공영화다. 이런 배경에다가 어린이용 영화라는 선입견까지 더해져 그다지 기대하지도 않고 보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재미가 있는게 아닌가... 작품성은 둘째로 치고라도 말이다. 남한의 모범생 어린이 인철과 북한의 모범생 어린이 동만이 만나 서로의 체제가 더 좋다고 으르릉 대며 우겨대다가 결국 북한의 어린이가 남한의 체제를 인정하게 되는 이야기이지만 결과적으로는 비극으로 끝나고 말아서 좀 마음이 아픈 영화이기도 했다. 어쨌든 이 영화는 제작자의 요구대로 국가의 시책을 등에 업고 어린이용 프로파간다영화로서의 모양새를 갖춘 후 대종상을 통해 우수영화로 선정되어 외화수입쿼터를 따내는 것이 목적인 영화다. 그러므로 관객을 동원해 흥행에 성공..
박종호 감독의 1965년 작품 는 고아인 어린 소년과 소녀를 통해 전쟁의 비극을 말하고 있는 반전영화다. 심정적으로 주인공이 스스로 살아가기에는 약한 어린이들이라는 점에서 동정적인 감정이 많아 앞서고,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이 더욱 비극적으로 다가온다. 또한 어린이들이 주인공이다 보니 끔찍한 현실속에서도 때때로 동화 속 같은 구성을 취하면서 그들의 순수한 면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아이들의 고군분투를 통해, 그들이 왜 저런 고생을 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원인으로서의 전쟁의 비극을 강화시키고 또한 반전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영화는 두서 없이 바로 하늘에서 뚝 떨어진 듯 엄마를 찾아 나선 영아라는 여자아이의 모습을 보여주며 시작한다. 그리고 바로 비무장지대에서 혼자 살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