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 보호구역에서 미군들의 감시하에 생활하던 한 무리의 아파치들이 말을 훔쳐 달아나는 사고가 발생한다. 그들의 도주가 위험한 이유는 그들이 지나가는 지역에 살고 있는 백인 정착민들에 대한 약탈과 방화, 강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100%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단 부분만 본다면 영화는 도덕적이고 정의로운 미국 기병대와 비도덕적이고 추악한 인디언과의 싸움에서 미군의 승리로 마무리되며 평화의 시대가 오리라로 끝날 것처럼 보이지만,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영화에서 “설마 그럴리가...“ 탈출한 아파치들을 뒤쫒는 기병대의 지휘관은 이제 막 사관학교를 졸업한 드뷘 소위다. 그의 아버지는 목사이며, 그는 하느님의 사랑 안에서는 아파치들도 분명 교화 될 수 있다고 믿는 이상주의자다. 지금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과 똑같..
마이클 위너 감독의 은 아메리카 인디언이 주인공인 서부극이지만, 전통적인 서부극의 전통에서 벗어나 있는 수정주의 서부극이기도 하다.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이 연상되기도 했던 작품이다. 그리고 연기를 하는 듯 안하는 듯 살짝 찡그린 무표정의 찰슨 브론슨도 멋지고, 조금씩 지쳐가는 잭 팔란스의 연기도 좋더라는... 인디언과 백인의 혼혈인 차토는 술집에서 술 한잔 마시려다 마을 보안관에게 모욕을 당한다. 실갱이중 보안관을 죽이게 된다. 백인을 죽였다는 이유로 정당방위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에 마을 백인남자들은 차토를 죽이기 위한 팀을 구성한다. 남부군 출신인 잭 팔란스를 중심으로 구성된 그들은 차토를 뒤쫓는다. 하지만 영민한 차토가 그들을 따돌리기 시작하면서, 오랜 뒤쫓음에 지친 백인들은 그들 스스로 싸우기..
마릴린 먼로를 배우로서든, 핀업 스타로서든, 한번도 좋아해 본 적이 없다. 그녀는 나에게 어떤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배우는 아니었다. 훌륭한 감독의 훌륭한 작품에 자주 출연했지만 적어도 나에겐 그녀는 존재감이 없었다. 그런데 오토 플레밍거 감독의 을 보면서 조금 변했다. 그녀가 눈에 들어왔다. 하지만 나긋한 목소리로 섹시한 자태를 뽐내며 기타를 치고 노래를 부르면서 그녀의 스타 이미지를 고스란히 가져온 장면은 세월을 견디면서 진부한 클리쉐가 되어버린 탓으로 섹시함은 강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오히려 짙은 화장덕분에 그녀가 마네킹처럼 보였다. 이런 마네킹이미지는 영화가 끝날 때까지 따라다녔다. 그녀는 정말 짙은 화장으로 얼굴을 가리고 움직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치마 대신 몸에 딱 달라붙는 청바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