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루 Loulou 모리스 삐알라 감독이 1980년에 발표한 를 보면서 젊은이들의 고민은 그때나 지금이나 그다지 변한 것이 없구나 하고 생각해보게 된다. 만약 룰루와 똑같은 내용을 제라르 드빠르디유와 이자벨 위페르 대신 티모시 샬라메와 시얼사 로넌을 캐스팅해서 요즘의 공간과 의상을 입고 똑같은 대사로 다시 촬영해도 21세기의 젊은이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영화로 충분히 공감을 얻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일상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인가 보다. 단지 주위의 공간과 사상은 변할지라도 인간이 살아가는 모습은 여전하기 때문인 것 같았다. 그렇다면 일상을 다루는 것으로 유명한 홍상수의 영화를 30년이 지난 후에 보게 되어도 어떻게 저렇게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냐?하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하긴 그러니 고전이 ..
라우더 댄 밤즈 Louder Than Bombs 아내이면서 엄마이기도 한 이사벨은 성공한 종군사진작가이기도 하다. 그녀의 죽음은 가족에게 큰 상실감을 안겼다. 특히 막내아들 콘래드는 사춘기가 겹치면서 방황을 한다. 사실 이사벨은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자살이다. 그 사실을 신문에 추모기사로 내려는 상황에서 아버지는 콘래드에게 밝히고자 하지만 지체되기만 한다. 그리고 어느덧 신문에 기사가 난다. 엄마의 죽음의 비밀을 알게 된 콘래드는 방황을 끝낸다. 아내이자 엄마의 죽음 이후 가족에게 찾아온 트라우마를 각 개인의 입장에서 세세하게 풀어내고 있다. 요아킴 트리에 감독의 에서 가족은 사랑으로 이루어진 공간이지만, 안식처로만 남기에는 가족 대신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줄거리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나탈리. 선생으로서의 자부심도 있다. 제자 파비앙은 유명 철학자로 성장하기도 했다. 그녀는 자신의 삶에 불만도 없어 보인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불륜을 고백한다. 게다가 제자인 파비앙도 뜻이 맞는 사람들과 무정부주의적 공동체를 형성해 살겠다며 시골로 떠난다. 과거 한때 나탈리도 열정이야 어쨌든 지금은 본인의 가정과 삶이 더 소중해진 나탈리는 갑자기 자신에게 닥친 일들이 혼란스럽다. 파비앙의 공동체로 휴식을 취하러 간다. 나탈리는 공동체와 어울리면서 시간이 쌓이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어떤’ 흐름을 스스로 막고 있었다는 생각을 한다. 나탈리는 앞으로 자신의 삶에 다가오는 것들을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결심을 한다. 한때의 열정과 나이 먹는 다는 것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