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수는 전국기능대회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세계대회에 참가할 기회를 얻는다. 반면 진수는 혁수의 그늘에 밀려 만년 2위에 머물러 있다. 진수는 예전 권투를 하며 다친 손 부상 때문에 섬세함이 요구되는 용접에서 자꾸 혁수에게 패하고 있었던 것. 그들은 나란히 합숙소에 입소해 선의의 경쟁을 한다. 그러나 혁수가 학생시절의 실수로 소년원에 갔던 경력이 밝혀져 세계대회참가가 무산되고 대신 진수가 나가게 된다. 하지만 절망도 잠시. 혁수와 진수는 서로의 우정을 다져가며 격려한다. 진수는 세계대회에서 금메달을 따고, 혁수의 목에 금메달을 걸어준다. 김응천 감독에다 70년대 후반이며 진유영이 등장하는 덕분에 하이틴 영화로 생각되지만, 이 영화는 계몽영화에 더 가깝다. 성실, 근면, 노력등 개발시대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묘..
유동훈 감독은 시나리오 작가로서는 한국영화계에서 꽤 영향력이 있는 분으로 알고 있다. 1967년에 정진우 감독의 의 시나리오로 작가로 데뷔했고, 1983년에 개봉한 는 그의 영화감독 데뷔작이다. 영상자료원의 기록으로 보면 이후 2편의 영화를 더 만들었다. 영화감독으로는 그다지 성공하지 못한 셈이다. 그 이유는 를 보고 나면 알 수 있다.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첫 느낌은 바로 천하다는 것이다. 나는 한국영화에 인심이 후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를 지지 하긴 힘들었다. 도대체 유동훈 감독이 어떤 시나리오를 써 왔던가 궁금해져서 그의 필모그래피를 찾아보기까지 했다. 그동안 쓴 시나리오를 쭉 훑어보니 ‘죄송하지만’ 가 요 모양 요 꼴로 나올 수밖에 없었구나 싶기도 했다. 아무리 후진 한국영화라도 ..
참 가혹하구나. 정애(이영옥)의 운명이란. 왜 그녀는 그토록 가혹한 운명의 굴레에 시달려야 하는지... 는 60년대 후반 의 큰 성공으로 멜로드라마의 거장으로 불리게 된 정소영 감독이 1978년에 내 놓은 영화로, 그해 한국영화 흥행1위에 올랐던 작품이다. 그 당시의 관객들은 이토록 불쌍한 여자의 어떤 모습에 그토록 공감했던 것일까? 영화의 주인공 정애는 70년대 중반 가난한 여주인공의 어떤 전형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는 공전의 히트작 이후 주인공인 경아가 가지고 있던 캐릭터의 연장선상에 있는 셈인데, 명랑하고 내숭도 없고 거짓말도 잘하고 통통 튀는 매력을 보여주지만 알고 보면 그런 인위적인 위악으로 가난과 편견에 맞서며, 남모를 아픔을 속으로 삭이는 그런 여주인공형 말이다. 그녀들이 인생을 어떻게 개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