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올림픽이 열리던 그 시절의 나이트메어는 꽤 무서웠다. 프레디 크루거가 쇳소리를 내면서 낸시를 부르며 흐느적 흐느적 걸어올 때면 긴장감이 더했다. 낸시의 친구 티나가 천장으로 끌어올려지며 피투성이가 될 때는 인상이 저절로 지푸려졌고, 조니 뎁이 연기한 낸시의 보이프렌드 글렌이 침대속으로 끌려들어가며 피가 분수처럼 터져 올라 천장을 적시는 장면에서는 눈을 질끈 감았다. 공포영화를 싫어했던 내겐 처음보는 강렬한 이미지이기도 했다. 그걸 오늘 중학생 학생 아들 녀석들과 함께 다시 봤다. 내심 이 무서운 걸 볼 수 있으려나 싶기도 했지만, 같이 본 아들 녀석들의 반응은 별로 무섭지도 않다는 콧방귀였다. 하긴 이미 워킹 데드나 킹덤을 비롯 온갖 좀비를 섭렵한 몸들이라는 걸 혼자 잊어먹고 있었다. 그리고 거의 3..
공포영화의 제왕으로 불리는 웨스 크레이븐의 스크림은 높은 완성도를 보이는 공포영화이다. 개인적으로 공포장르를 별로 좋아하지 않다가 이 영화 이후로 꽤 즐기는 편이 되기도 했다. 웨스 크레이븐감독은 공포영화를 새롭고 신선하게(?)찍어내는 감독으로 유명하다. 이미 나이트메어를 80년대 공포영화의 대표작중의 하나로 만들었고, 스크림은 90년대 공포영화의 걸작리스트의 꼭대기층에서 머물게 될 것이 틀림없다. 스크림의 미덕이라고 한다면 익히 알려진 대로 공포영화의 전형성에 대한 모방과 재창조를 통한 조롱일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헐리우드의 내러티브 구조를 통한 이야기꾼으로서의 웨스 크레이븐을 더 높이 평가하고 싶다. 스크림은 단순한 내러티브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그 속에서 반전과 복선은 예술적 ..
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작품이고 저예산이지만 꽤 재미있는 작품이었다. 호러물은 볼 때마다 조금은 불편한 감정이 드는 게 사실이다. 우선은 어둡고 습한 듯한 화면모양새가 그렇고(저예산일 경우 더 심함), 어떤 감독들의 경우 지나친 고어를 즐기며(이 분야는 정말 적응 안됨), 나아가 합리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초현실적 요소들(귀신, 유령, 흑마술등등)이 뭔가 불안한 심리를 조장하기 때문이다. 나는 호러영화에서의 '무서움'의 원천이 신체훼손등의 고어보다는 과학적 사고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비합리성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합리성이란게 인간의 이성이 현상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이고, 그로 인해 세상이 생각했던 대로 움직인다는 안도감-즉, 나에 대한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준비-을 느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