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김지훈보다 제작자 윤제균의 이름이 더 많이 부각된 올 여름 한국영화 최고의 블로버스터가 될 뻔했던 . 어쨌거나 감독이든 제작자든 얼굴에 똥칠한 것은 분명한 듯 하다. 그들의 목적. 과연 무엇일까? 재미로 꽉 채운 일류의 블록버스터 영화를 내놓고 한국영화 최고의 흥행기록을 수립함과 동시에 돈도 벌어보겠다는 야심? 그 야심 한번 크구나. 그렇다면 최고 품질의 제품을 내놓아야 할터. 그러나 윤제균 제작, 김지훈 감독의 는 큰 야심에 맞는 큰 야망을 품는 대신 꼼수를 품어버리고 말았다. 불량식품으로 관객의 혀를 녹아내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그 꼼수. 그러므로 는 일류를 꿈꾸며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라 삼류를 목표로 일류의 흥행기록을 꿈꾼, 그야말로 꿈(?)의 프로젝트였던 것이다. 는 무엇보다도 선배 괴수영화나..
를 아주 재미있게 보았다.극장에서 그렇게 웃어보기는 올들어 처음인 듯... 아주 유쾌했다.일단 시대가 80년대 후반이라 친근감이 많이 느껴졌고,더구나 주요 공간이 부산이라 고향이 부산인 나로서는 보는 재미가 만만치 않았다.기억을 더듬어보면정말 89년에 국제시장의 저 좌판에 앉아 떡볶이를 먹었던 것 같기도 하지 뭔가...^^영화를 보기전에는 지금 상황에서영남과 호남의 지역감정이라는 소재가 좀 현실감이 없다고 생각했다.하지만 배경이 80년대 후반이라는 걸 알고는 머리 좀 썼네 싶었다.아마 그때가 지역감정이라는 구습의 거의 막바지 시기가 아닐까 싶었기 때문이다.사실 영화 자체는 별다른 특별한 점은 발견하기 힘든 코미디영화다.그래도만희 희화화 하기는 했지만 영남과 호남의 사투리를 이용한 웃음코드는TV에서 자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