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신의 원작소설 은교를 무척 인상깊게 읽었던 터라 정지우 감독이 를 만든다고 했을 때 기대가 컸다. 가 실망스러웠지만 와 만으로도 정지우 감독에 대한 신뢰가 여전했던 탓도 있을 것이다. 드디어 극장에서 를 보면서 이적요(박해일), 은교(김고은), 서지우(김무열)가 만들어가는 스토리와 예쁜 화면을 주목하면서 영화에 빠져 들었다. 그러나 영화가 진행될수록 주인공 세사람 사이의 드라마에 끼어들어 감정의 공란을 채우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말았다. 그랬다. 소설 은교가 영화 로 바뀌면서 축약된 부분을 내가 채워가며 보고 있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나는 결국 이 영화에 온전하게 몰입하는데 실패했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좀 더 복합적으로 세사람의 관계와 심리변화에 집중했던 소설과는 달리 정지우 감독은 늙음이라는 것..
윤재근 감독의 는 하나의 심장을 두고 쫓고 쫓기는 스릴러 장르를 통해 재미를 만들어가는 영화이지만, 근본적으로는 모성애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영화는 근본적으로는 두 명의 어머니가 이끌어가는 영화라는 것이다. 심장병으로 죽음을 문턱에 둔 딸을 가진 영어 유치원 원장 연희(김윤진). 삼십이 넘도록 양아치짓을 하고 다니는 아들 휘도 때문에 속을 썩는 가난한 어머니. 표면적으로 연희와 휘도(박해일)의 대결로 보이지만, 근본적으로는 휘도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뇌사에 빠진 어머니이므로, 이 영화는 두 어머니의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일단 윤재근 감독은 영화 속에서 악인을 내세우지 않는다. 휘도의 어머니를 착취했던 남자(주진모)정도가 악역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그 역시 어리버리..
12010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강우석 감독이 이끼로 감독상을 받았다는 소식을 접하곤 기겁을 해버렸다. 감독상이 연출이 뛰어난 사람이 아닌 권력이 뛰어난 사람에게 가는 건가 싶기도 하고 말이다. 대종상이 영화계의 신구세력을 끌어안는 방식이 이런식이라면 좀 곤란하지 않을까? 어느 시상식이나 왈가왈부는 있겠지만 이번 대종상 감독상은 받아들이기에는 호흡곤란이 동반되는 건 아닌가 싶다. 2그렇다고 이끼가 무지막지하게 못 만든 영화라는 말은 아니다. 그렇다고 잘 만든 영화라고 말하기엔 조금 민망하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난 후 가장 먼저 든 생각이 강우석 감독 특유의 설렁설렁 연출이었다. 물론 연출과 재미가 일치하는 것만은 아니므로 영화까지 재미가 없었다고 말할 수는 없겠다. 꽉 찬 느낌은 부족했지만 미스테리적 요..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미자
- 하명중
- 신성일
- 1976
- 최남현
- 1978
- 1981
- 윤일봉
- 김희라
- 전계현
- 박원숙
- 황정순
- 허장강
- 1980
- 박노식
- 남궁원
- 1979
- 1970
- 문희
- 박암
- 이해룡
- 도금봉
- 문정숙
- 전숙
- 1977
- 김기종
- 70년대 한국영화
- 김진규
- 한은진
- 김정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