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했던 시절에 아이들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는 다양한 감성을 불러일으키곤 한다. 아이들의 고통스런 삶을 통해 우리는 아직 그들을 포용하지 못하는 각박한 사회에 대해 안타까워 할 수도 있고, 그 비참함을 꼭 이겨내 아이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심어주고 말겠다는 다짐을 할 수도 있다. 여전히 가난했던 1960년대 후반. 김수용 감독 역시 아이들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를 통해 사회적 인프라에 대한 성찰을 하고 있는데, , 에 이어 전국축구대회에서 우승한 고아축구단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을 1968년에 개봉하며 불우한 환경에 처한 아이들을 통해 다시 한번 한국사회를 바라보는 시도를 하고 있다. 축구만이 희망이었던 서울 시립 아동보호소의 축구부 소년들이 원장(김동원), 여선생(윤정희), 코치(신영균)의 도움을 통해 고..
김기덕 감독의 를 재미있게 보았다. 이야기를 신파스럽게 끌로 가고 있긴 하지만, 어렵고 가난한 환경속에서, 나름대로 위악을 떨어본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착한 본성을 가진 캐릭터들이 좋았다. 더불어 실제 권투선수인 김기수가 무표정속에 캐릭터의 안타까운 심정을 담기 위해 애쓰는 연기도 귀여웠고, 베테랑인 김지미나 전계현의 연기. 김기수를 통해 이루지 못한 동양챔피언의 꿈을 이뤄보려는 늙은 코치역의 박노식도 좋았고, 아역 김천만의 능청스런 연기도 마음에 들었다. 착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는 마음에 드는 영화였다. 그러나 이제 좀 냉정해져 보자면, 는 김기덕 감독의 연출력은 실종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한국최초의 동양미들급 챔피언이었다는 김기수의 스타성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관객을 끌어모으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