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윤모 감독의 1981년 작품 는 마음에 드는 부분이 있다. 바로 남자가 끝까지 순정을 지킨다는 것이다. 많은 한국영화에서 남자는 여자를 배신하고 그래서 여자는 한을 품는다. 하지만 어떤 영화는 남자의 순정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그런 점에서 1973년 변장호 감독의 가 생각났다. 영화의 결말부분에서 맹인이 된 미령이 동훈의 앞인줄도 모르고 구구절절 읊어대는 신파조의 대사는 좀 유치하긴 하지만, 그래도 한진희와 윤미라의 연기가 괜찮아서 그럭저럭 볼 만하다. 악역 칠용이가 잠시 등장해 구질구질하게 굴긴 해도, 어쨌거나 서윤모 감독이 착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어 마음도 편해진다. 호스티스 미령과 고학생 동훈의 만남. 그들은 티격태격하다 정이 쌓인다. 그러다 교통사고를 당하는 동훈. 얼떨결에 보호자가 ..
어머니의 유골을 들고 자신들을 버린 아버지를 찾아 올 만큼 저돌적인 신아는 아버지의 집에 들어가 살겠다고 선포한다. 그러나 아버지 집에서 새어머니와 새 언니의 냉대는 그녀를 너무 힘들게 한다. 무작정 동호와 하룻밤을 보낸 신아는 덜컥 임신을 하게 되고 아버지의 집을 나온다. 신아는 직접 아이를 키우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신아를 좋아하는 강일이 새 출발을 해야 한다면서 몰래 아이를 아버지에게 보내버린다. 신아는 아이를 돌려달라고 말도 못한 채 자학에 빠진다. 시간이 흘러 잘 자란 보람은 모든 사실을 알고 친엄마인 신아를 찾는다. 그러나 신아는 죽어가는 몸을 이끌고 거리를 헤맨다. 박용준 감독의 을 보고 나면 뭐, 이런 바보 같은 영화가 다 있나 싶은 생각이 든다. 내러티브는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