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맨틱 코미디가 다 거기서 거기겠지 하는 마음으로 보기 시작한 . 음... 그런데 보고 있자니 쓰리살짝 재미가 느껴진다. 무엇보다도 잘난 척, 예쁜 척, 미남인 척하는 그 ‘척’이 없어서 편한 면도 있다. 이렇듯 전계수 감독의 을 본 느낌은 기름기가 많이 빠져 대체적으로 담백한 느낌이라는 거. 이렇게 생각도 했다. 이 영화는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한 로맨틱 코미디가 아닐까, 라고. 여자 주인공은 더 이상 예쁘거나 여성스러움을 내세우지 않는다. 남자 주인공은 더 이상 잘생기거나 간지를 내세우지 않는다. 그저 주위에서 무난히 볼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현실적으로 그려내려고 한다. 그게 요즘 로맨틱 코미디 장르가 새롭게 추구하는 스타일인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로코의 주인공들에게 주어지는 공간과 상황도..
정용주 감독의 영화 는 매력이 없다. 한번 더 말하면 눈길을 확 사로잡을 만한 요소가 적다고 해도 되겠다.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불치병에 걸린 연인의 로맨스를 비극이 아닌 코미디로 접근한 것이 충분히 재미있겠다는 기대를 하게 했지만, 아쉽게도 결과물로서의 는 재미도 감동도 실종된 그야말로 밍밍한 영화였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인물인 엄태웅이 연기한 강동주라는 인물이 영 재미가 없고, 엄태웅의 코미디가 개그 대신 유치함으로만 다가오는데다 그를 서포트해야 할 강동주의 동생 부부 역시 몰개성이라 일단 캐릭터 구축에 성공적이지 못해 인물에 몰입할 여유를 주지 않는다. 다만 정려원이 연기한 은행원 오송경은 상대적으로 재미있는 캐릭터라고 생각했다. 어쩌면 오송경이라는 캐릭터는 이 영화의 단점을 충분히 보완할 ..